정서적 탈진, Burnout Syndrome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관련링크
본문
권태감과 피로, 스트레스성 탈진(Burn out)에 대하여
때때로 건강한 사람도 심한 육체적 노동 지속하는 경우에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더 이상 아무런 일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탈진되는 현상을 경험합니다. 흥미롭게도 우리의 정신활동에도 탈진현상이 있습니다. 이것을 흔히 Burn out 이라고 부르는데, 이 칼럼에서는 Burn out syndrome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Burn out은 원래 우주를 향해서 발사된 로켓이 가지고 있던 모든 연료를 다 소모한 후, 잠깐 동안 그대로 날아가는 상태를 표현하는 용어였습니다. 겉으로 보면 로켓이 진행하던 속도로 계속 날아가고 있기 때문에 마치 연료가 계속 남아 있는 것 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곧 소진된 연료로 인해 추진력은 약해지고 로켓은 점차 추락하게 됩니다.
흥미로운 것은 burn out의 원리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탈진 상태를 설명하는데에도 유용합니다. 즉 건강한 삶을 살던 사람이 오랫동안 과중한 심리적, 육체적 스트레스와 좌절을 경험하게 될 때, 겉으로는 표가 나지 않지만, 내면적으로는 우울한 기분과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의 고갈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신 분석가 프로이덴베르거(Herbert Freudenberger) 가 1974년 처음으로 Burnout syndrome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는 burnout syndrome 을 (의료인과 목회자 같은) 남을 돕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자기 희생을 마다하지 않고 쏟아 부은 노력의 결과가 기대한 만큼 얻어지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피곤과 좌절의 상태라고 정의했습니다.
Burn out이 된 사람에게 관찰되는 모습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극도로 피로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피로감이 지속되면 나에게 주어지는 어떠한 일도 해낼 자신이 없어지게 됩니다. 두 번째는 대인관계에서 갑작스럽게 감정이 폭발하고 예민해지고, 쉽게 화를 내게 됩니다. 특별히 같이 일하는 동료들에 대한 실망감과 분노감이 생겨납니다. “나는 이렇게 열심히 일을 하고 있는데, 다른 사람들은 나의 수고와 노력을 알아주지도 않고 고마워 하지도 않는다.”는 생각이 자주 떠오릅니다. 이러한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는 점차 사람들을 멀리하는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회의나 모임, 친목회 등의 모임에 더 이상 가고 싶지 않습니다. 주위 사람들에게는 늘 화가 나 있는 듯한 모습으로 비쳐집니다. 흥미로운 것은 정신적인 탈진 상태가 되면, 나는 더 이상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힘이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다고 느껴집니다. 이럴때 주위에서 일을 부탁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면 심한 정신적인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Burn out 상태에서 또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공감할 수 없게 됩니다. 주위 사람의 필요나 감정적인 변화에 도무지 공감할 수 없게 되고, 마치 심장이 돌처럼 차갑고 단단하게 변해버린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마음이 딱딱해 지는 느낌이 들고 다른 사람에게 무관심하고, 다른 사람을 공감하기 힘들게 됩니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신중하게 생각해 주지 못하게 되기도 합니다.이러한 정신적인 탈진은 결국 자신의 일에 영향을 미칩니다. 마치 로켓이 서서히 하강하는 것 처럼, 업무의 능률도 서서히 떨어지게 됩니다. 일의 효율이 떨어지면 더욱 좌절감을 느끼게 되고, 자신감을 잃게 됩니다. 일에 대한 열정, 열심이 사라지고 일을 미루고, 연기하는 버릇이 생깁니다. 탈출, 벗어나고 싶은 마음을 수시로 갖게 됩니다. 내면적인 지루함과 공허감으로 술, 담배, 도박, 약물을 의지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 결과 업무 수행의 저하, 결근, 업무 환경에 대한 불만이 많아지게 되고 실제로 조기 퇴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Burn out 은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탈진 현상(Burn out)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별히 지속적으로 누군가를 도와야 하고, 보호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간호사, 사회사업가, 의사, 목회자, 선교사, 교사, 상담원, 비서, 경찰관, 장관, 법관 등의 직업에서 많이 나타난다. 더불어 아이들의 양육을 담당하는 부모들의 50%에서 Burn out 이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정신의학적으로 burnout을 설명하자면, 가벼운 정도의 우울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가벼운 우울증은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조절 등으로 어렵지 않게 호전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이러한 Burnout을 계속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많은 경우에, 신체적 질환이 동반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과 소화장애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우울증의 정도가 점점 깊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대인관계의 문제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Burn out 의 증상과 원인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휴식과 재충전만으로도 문제가 해결 될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burn out의 원인이 되고 있는지 우선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Burn out이 반복되실 때에는 정신과적 상담을 권해 드립니다. 이를 통해서 burn out의 패턴과 무의식적 원인을 발견하고 감정적 소진을 줄이고 삶의 기쁨과 만족감을 찾는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인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